Home > 대학원 > 학위논문

학위논문

게시글 검색
미술관의 공공성 의미와 확장에 관한 연구 - 미술관 민영화에서 인공지능 시대의 공공성 논의까지-
안필연 (curator) 조회수:608 210.121.137.7
2021-08-30 15:15:45

미술관의 공공성 의미와 확장에 관한 연구 - 미술관 민영화에서 인공지능 시대의 공공성 논의까지

A Study on the Meaning of Publicness and Expansion of Art Museum -From The Corporation of Art Museum to Discussion of Publicness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안필연 (Ahn, Pil-yun,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 발행기관 동덕여자대학교
  • 지도교수 양지연,심상용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큐레이터학과
  • 원문페이지 136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dongduk/00000010720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동덕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국제박물관협의회(ICOM: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의 설립목적에는 미술관의 공공성, 즉 예술과 대중과의 소통을 교류하는 사회공동체적 의미가 함축되어있다. 1991년 제정된 국내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도 미술관이 일반 대중에게 이바지하는 문화교육의 공공적 기능을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미술관의 공공성은 사적 이윤을 추구할 수 없다는 미술관의 ‘항구적 비영리성’으로 인해 큰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술관의 존립 기반과 관련한 민영화의 문제와 이에 관한 국가별 사례들을 바탕으로, 향후 미술관의 공공성과 공유적 가치를 담보할 수 있는 융복합적 미술관 경영 방안을 다루었다. 미술관의 공공성 측면에서, 사회·문화·경제적으로 급변하는 미술관이 후기 자본주의 시대에 보다 확장된 대중 참여를 통해 그 존재의미를 공고히 해나갈 수 있는지에 대해 아래의 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오늘날 미술관의 공공성 담론과 그것에 반영되어 있는 민주적 정신을 재확인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미술관의 공적 특성은 시민 공중을 모든 판단과 소통의 최상위에 두는 시민주의적 공기(公器)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는 것으로 표명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세계의 미술관들은 존립 기반인 공공성이 흔들리는 도전에 직면하여 각각의 상황과 조건에서 활로를 모색하고 있지만, 그 성과는 현재까지 미흡하다. 공공기금이나 보조금의 축소가 국공립미술관의 기반을 더욱 어렵게 하는 것은 세계적인 현상이다. 그런 가운데 영국과 프랑스에서의 법인으로의 전환을 통한 방안 모색은, 이와 유사하게 특수법인화 등을 시도하며 대안 마련에 부심하고 있는 국내의 상황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셋째, 21세기는 예술에 있어서도 테크놀로지를 통한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는 현재 직면하고 있는 디지털 시대 미술관의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인공지능 시대 미술관에 있어 공공성의 개념적 변화, 즉 인간의 삶에 어떤 공적 장을 제공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그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미술관의 공공성을 최적화된 형태로 변화시키고, 이의 구현을 위한 실천적 활로를 모색하게 하여 보다 확장된 공공기제로서 자리매김하게 할 것이다. 21세기 미술관에 요구되는 공공성의 개념과 의미는 과거의 것과는 변별되면서도, 시민과의 소통을 더욱 중시하는 쪽으로 나아가고 있다. 비영리성과 경영합리화의 공존, 민주사회에의 기여는 이 시대가 요구하는 열린 미술관의 생태계로서, 미술관의 공공성 실현을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조건이 되고 있다.
 
목차
Ⅰ. 서론 1
1. 연구대상 및 목적 1
2. 연구방법 및 내용 3

Ⅱ. 미술관과 공공성 5
1. 미술관의 공공성 개념 5
1) 공공미술관 생태의 변화와 현황 7
2) 현대미술관의 대중성과 전문성 10
2. 미술관의 공공성과 논쟁 12
1) 공공미술관의 자율성 부재 12
2) 공공미술관의 교육적 대안과 강구책 18

Ⅲ. 공공미술관의 행정적 방향 모색 25
1. 공적기관의 국가별 편제와 추이 25
1) 유럽 공공미술관의 법인화 현황 26
2) 미국 공공미술관의 법인화 현황 31
3) 아시아 공공미술관의 법인화 현황 33
4) 한국 공공미술관의 법인화 현황 39
2. 국립현대미술관의 법인화 논쟁 50
1) 국립현대미술관의 법인화 요구 50
2) 국립현대미술관 법인화 백지화의 쟁점들 53

Ⅳ. 공공미술관의 경영적 방향 모색 59
1. 미술관 공공성과 법인화의 당위성 59
1) 국가 주도형 경영지원의 체계 60
2) 미술관의 복지경영과 분배 64
2. 공공지원 확대와 민영화의 병행 66
1) 미술관의 수입구조와 기부제 66
2) 독립적 자율경영의 확보와 편제 71

Ⅴ. 미술관 공공성의 미래와 그 확장된 논의 75
1. 열린 예술생태계와 미술관의 역할 75
1) 마케팅을 통한 미술적 공공성 75
2) 치유와 의지로서의 미술적 공공성 78
3) 교육과 엔터테인먼트의 미술적 공공성 80
2. 디지털 자본화 시대의 미술관 공공성 81
1) 미술관의 공유가치 형성(CSV) 82
2) 디지털 활용능력과 테크놀로지 84
3) 문화콘텐츠와 온라인 서비스의 역량 88
3. 융복합 시대의 공공성 97
1) 인공지능시대의 예술과 기술 99
2) 인공지능시대와 미술관의 대응 102
3) 예술과 과학의 융합적 미술관 103

Ⅵ. 결 론 108
참 고 문 헌 111
ABSTRACT 126

댓글[0]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