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대학원 > 학위논문

학위논문

게시글 검색
뮤지엄 경험 담론과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
박진희 (curator) 조회수:474 210.121.137.7
2021-08-30 15:10:22

뮤지엄 경험 담론과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course and Praxis of the Museum Experience

박진희 (Park, Jin Hee, 동덕여자대학교)

 

 

  • 주제(키워드) 뮤지엄 경험 , 관람자의 유형화 , 관람자 중심적 기획
  • 발행기관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양지연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큐레이터학과
  • 세부전공 큐레이터 전공
  • 원문페이지 ⅷ, 163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dongduk/00000010718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동덕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초록/요약
  •  
  • 뮤지엄의 역사가 쌓임에 따라 뮤지엄에 대한 국내 관람자의 경험이 축적되고 있다. 피상적인 체험에서 나아가 관람자가 의미 있는 경험을 형성할 수 있는 뮤지엄 콘텐츠를 기획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동시대 관람자의 경험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뮤지엄 방문을 통해 얻는 효용의 실체인 ‘경험’에 관한 담론을 연대기적으로 살펴보고 뮤지엄 경험의 주요 속성을 관람자 개인적인 학습성과 심미성, 관람자 상호적인 측면에서 사회성이라는 의미 단위로 도출하였다. 나아가 뮤지엄 경험의 세부 속성에 기반을 둔 설문의 설계를 통해 국내 관람자의 기대와 경험을 스노우볼 표집 방식으로 실증 분석했다. 특히 설문 대상은 2000년대 국내 뮤지엄 건립과 문화예술교육 부흥기에 자발적으로 뮤지엄을 경험한 30대에서 60대로 설정하여 분석 가능한 경험의 폭과 질적 측면을 확보하고자 했다. 더불어 이론적 연구에 기반을 둔 설문 결과에 대한 적용을 위해서는 전문가 영역의 인터뷰를 통해 동시대 관람객에 대한 분석 결과를 공유하고 현장 적용 방안을 모색했다. 이러한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 방법론의 결합을 통해 기존의 인구통계학적접근과 심리학적 정보 분석에 따른 유형화와 차별성을 지닌 경험을 중심으로 한 관람자의 유형화와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국내 뮤지엄 문맥에서 세분화 되지 않았던 성인 관람자를 다각적으로 뮤지엄 자원을 활용하는지의 여부로 ‘초심자형’과 ‘능숙자형’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뮤지엄에서의 활동의 측면에서는 개인적인 방식과 관람자 간의 상호작용을 선호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개인형’과 ‘관계 지향형’으로, 뮤지엄에서 전달하는 메시지를 흡수하여 듣는 ‘청자형’과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고 말하고자하는 ‘화자형’으로 분류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국내 관람자는 전통적인 방식인 뮤지엄 오브젝트와 공간을 중심으로 뮤지엄을 경험해 왔으며 해석의 도구나 경험의 방식을 다양하게 접하거나 활용하지 못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 뮤지엄 전문가는 뮤지엄 경험을 해석의 요소 혹은 기획의 요소로 대하는 견해의 차이점을 보여주었지만 전반적으로 사회성의 구현 등 미래지향적인 접근 태도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관람자의 경험과 전문가의 의식 사이에 간극이 발견되었다. 이에 뮤지엄 경험 연구에 기반을 분 현장 적용점을 의미 있는 경험의 확대와 경험 중심의 관람자 유형화, 전통적인 관람자에 대한 미래지향적 접근, 인력과 조직의 방향 제안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의 개관을 필두로 국내 관람자에게는 각각 박물관 70년, 미술관 50년이라는 경험의 층위가 형성되었다. 관람객의 누적 수치를 중시하는 접근에서 나아가 관람자가 지닌 경험의 겹으로 이해하는 자세는 국내 뮤지엄 관람자의 경험의 다원적인 측면을 파악하고 해석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뮤지엄 경험은 설계와 유도의 측면이 아닌 분석을 통한 전략적 조직화와 미학적 조율의 측면으로 접근되어야 관람자의 경험을 뮤지엄의 콘텐츠 안으로 포괄 할 수 있을 것이다. 뮤지엄이라는 문화 기관의 형태가 국내에 소개되고 한국적 맥락에서 정착되어 가는 과정은 서구에 비해 비교적 짧았으나, 뮤지엄 전시 및 교육의 구조와 형태는 현장 인력의 전문성과 연구라는 인적 자본의 견인으로 가능했다. 이제 관람자 연구에 대한 전문성으로 그 폭을 확대하여 미래의 관람자를 위한 관람자 중심적 기획을 출발해야 하며 관람자의 경험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은 그 출발점이 될 것이다.
  • 목차
  •  
  • Ⅰ. 서 론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질문 5
    3. 연구 내용 및 방법 5

    Ⅱ. 뮤지엄 경험에 관한 담론 분석 8

    1. 뮤지엄 경험 담론의 흐름 8
    2. 뮤지엄 경험의 총체적 접근 14
    3. 뮤지엄 경험의 속성 19
    3-1. 학습적 측면 25
    3-2. 심미적 측면 32
    3-3. 사회적 측면 37

    Ⅲ. 뮤지엄 경험 속성의 실증적 탐색 46

    1. 설문조사 46
    1-1. 조사 설계 46
    1-2. 결과 분석 51
    1-3. 논의 94
    2. 인터뷰 97
    2-1. 조사 설계 97
    2-2. 결과 분석 100
    2-3. 논의 112

    Ⅳ. 뮤지엄 경험의 적용 117

    1. 피상적인 체험에서 의미 있는 경험으로 117
    2. 경험 중심의 관람자 유형화 118
    3. 전통적인 관람자에 대한 미래지향적인 접근 121
    4. 뮤지엄 경험 기반 인력과 조직의 방향 122

    Ⅴ. 결론 125

    부 록 128

    참고문헌 147

    ABSTRACT 161

댓글[0]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