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대학원 > 학위논문

학위논문

게시글 검색
관람객의 의미형성을 위한 소통적 역할로서 재현과 관람경험에 대한 연구
송한나 (curator) 조회수:1419 210.121.137.7
2018-05-30 16:02:13

관람객의 의미형성을 위한 소통적 역할로서 재현과 관람경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presentation and Visitor's Experiences as Communicative Role in Visitor's Meaning-Making
송한나 (Song, Hanna,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 발행기관 동덕여자대학교
  • 지도교수 양지연
  • 발행년도 2014
  • 학위수여년월 2014.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큐레이터학과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

기존 박물관 연구에서 재현의 개념은 이미 존재하고 있는 사물에 대한 상(像)을 반사하는 시각적 모방의 개념으로 해석되어 왔다. 박물관에서의 재현은 존재를 ‘최대한 실제와 같이’ 보여주는 연출적 요소로 해석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모형 제작 및 디오라마 연출기법, 전시물을 중심으로 한 동선 구성 등과 같이 전시를 구성하는 물리적 요소로서 재현의 개념을 적용한 방법론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이처럼 시각적 연출방법으로 해석된 재현은 실제 박물관 전시에서 ‘마치 실제처럼’ 사물, 사람, 사건을 연출함으로써 관람객의 관심을 끌고 감성을 자극하는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로 적용되고 있다. 박물관 전시에서 시각적 연출방법으로 적용된 재현은 관람객의 흥미를 끌고 전시공간의 연출적 분위기를 극대화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시각적 모방을 통해 ‘존재 그 자체’를 보여줌으로써 존재에 대한 의미를 전달하고자 한 기존 박물관 전시에 적용된 재현의 개념은 존재가 내포하는 개념 및 의미를 관람객 스스로 해석하는 과정을 배제하는 것으로 존재의 의미를 연출된 이미지로 각인화하여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점을 지닌다. 이처럼 시각적 모방의 개념으로 해석된 재현은 관람객 스스로 전시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의미를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의미를 만드는 실천(signifying practices)”적 역할로 전환된 체험 중심 박물관에 적용하는데 한계점을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관람객의 의미형성을 위한 소통적 역할로서 재현의 개념 및 박물관 전시의 맥락에서 재현을 통한 관람객의 관람경험에 대한 연구가 미비함을 인식하고 존재가 내포하는 의미를 소통하는 ‘의미작용의 언어적 역할(signifying language)’로서 재현의 개념을 관람객의 의미형성과 관람경험의 관계 속에서 고찰한다. 의미작용의 언어로서 재현의 개념 및 소통적 역할로서 재현을 통한 관람객의 의미형성 과정과 관람경험을 논의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론 연구와 사례 연구를 진행한다. 이론 연구에서는 언어학 관점에서 재현의 개념 및 재현의 근본적인 토대로 작용하는 정신적 재현을 사회학 관점에서 집단기억과 기억 실천적 역할로서 박물관의 역할을 고찰하며 오브제 중심에서 체험 중심으로 전환된 박물관 개념변화에 따른 소통적 역할로서 재현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소통적 역할로서 재현을 통한 관람객의 의미형성과 관람경험을 관람객 스스로 전시를 해석하는 해석적 과정 및 박물관 학습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를 통한 관람객의 의미형성을 위한 박물관 전시에서의 재현의 역할에 대해 논의한다. 이론 연구에서 검토된 논의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재현적 접근에 따른 실제 박물관에서의 관람객의 의미형성 과정과 관람경험을 고찰하기 위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론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논의된 스튜어트 홀의 재현에 대한 반영적 접근 및 구성주의적 접근을 근거로 사례 연구에서는 반영적 접근에서 관람객의 감성을 자극하기 위한 시각적 모방의 개념으로 재현을 해석한 수도국산달동네박물관, 구성주의적 접근에서 관람객의 자발적 해석 과정을 위한 조형적 상징으로 재현을 해석한 베를린유대인박물관의 ‘기억의 공간’ 및 역사적 맥락을 전달하기 위한 서술적 역할로서 재현을 해석한 미국 홀로코스트 메모리얼 박물관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각 박물관의 재현적 접근에 따라 관람객이 전시를 해석하는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박물관의 2명 이상 관람객 집단 총 50명을 대상으로 관람 중 관람객 간의 대화를 분석하였으며 관람 동기와 관람경험 간의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관람 이전 및 직후 관람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론 연구와 사례 연구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검토되지 않았던 소통적 역할로서 재현의 개념 및 이를 통한 관람객의 의미형성과 관람경험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실천적 방법으로서 재현적 접근을 통한 박물관 전시의 방향을 제언한다.
 

The notion of representation in the existing Museum Studies have been interpreted as a notion of visual imitation that reflects the form of an already-existing object. In museum exhibitions, the notion of representation thus has been adopted as a dramaturgical requisite to reflect the existence ‘as realistic as possible.’ Based on such interpretation, methodological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which adopt representation as a physical element constituting an exhibition such as model production, diorama exhibition directing technique, and visitor's circulation. The notion of representation interpreted as visual method thus has been adopted as an entertainment factor in real museum exhibitions to draw visitor's interest and stimulate senses by creating object, person, and event as lifelike. Representation adopted as visual method in museum exhibitions may be effective in a way that it attracts visitors and maximizes atmosphere of the exhibition space. However, such interpretation and implementation of representation raises concerns that it excludes visitors from interpreting an exhibit and its inherent conception and meanings from one's own perspective. Representation as visual imitation therefore possesses a limit in carrying out the notion of representation in experience-centered museums where the potential goal of an exhibition is to act as a “signifying practice" allowing visitors to make their own meanings about the exhibit. This study recognizes the lack of research on representation as communicative vehicle for visitor's meaning-making and thus investigates the notion of representation as ‘signifying language' in the context of visitor's meaning-making and visitor experience. To discuss about visitor's meaning-making and visitor experience through representation as signifying language that acts as communicative vehicle,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study and case study. In the theoretical study, the notion of representation from linguistic perspective, collective memory from sociological perspective, museum as mnemonic practice, and representation as communicative vehicle in experience-centered museums have been investigated. In addition, theories on visitor's meaning-making and visitor experience from museum educational perspective have also been investigated and from the finding, role of representation for visitor's meaning making in museum exhibition have been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theoretical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case study to implement the findings to the real museum environment. Adopting the reflective and constructivist approach on representation asserted by Stuart Hall, Sudoguksan Museum of Housing and Living, ‘Memory Void' at Berlin Jewish Museum, and U.S. Holocaust Memorial Museum have been selected as case studies to investigate visitor's process of interpreting the exhibition from different representational approaches. In the case study, total of 50 visitors composing group visitors of more than 2 persons at each museum have been interviewed before and after the visit, and their conversations during the visit have been recorded to analyze their process of meaning making and visitor experiences. From the theoretical and case studies, this study implies meaning of representation as communicative vehicle in museum context, argues significance of museum's role as signifying practice for visitor's meaning-making and visitor experience, and proposes a further study.

 

목차

I.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용어 정의 및 연구 내용 5
3. 연구 방법 및 한계 9
II. 소통적 역할을 위한 의미작용의 언어로서 재현 15
1. 언어적 역할로서 재현의 개념 15
2. 집단기억과 기억 실천적 역할로서의 박물관 22
3. 박물관 개념변화에 따른 소통적 역할로서 재현 31
III. 박물관 전시를 통한 의미형성과 관람경험 36
1. 관람객의 해석적 과정으로서 의미형성 36
2. 박물관 학습의 관점에서 관람경험 41
3. 관람객의 의미형성을 위한 박물관 전시에서의 재현 53
IV. 박물관 전시에 적용된 재현의 개념과 관람경험: 사례 연구 59
1. 사례 연구의 방법 59
1) 사례 선정의 기준 59
2) 관람객 대화 분석 및 해석의 방법 64
2. 사례 연구 결과 72
1) 관람객의 감성을 자극하기 위한 시각적 모방의 개념으로서 재현: 수도국산달동네박물관 72
(1) 환기적 전시의 역할로서 재현 72
(2) 시각적 재현을 통한 흥미 유발: 관람객의 관람경험 분석 76
2) 관람객의 자발적 해석 과정을 위한 조형적 상징으로서 재현: 베를린유대인박물관(Berlin Jewish Museum) 기억의 공간 96
(1) 홀로코스트의 개념을 상징하는 역할로서 재현 96
(2) 홀로코스트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해석: 관람객의 관람경험 분석 99
3) 역사적 맥락을 전달하기 위한 서술적 역할로서 재현: 미국 홀로코스트 메모리얼 박물관(U.S. Holocaust Memorial Museum) 118
(1) 삽화적 가치로서 오브제와 맥락의 개인화를 통한 재현 118
(2) 개인적 통합의 관점에서 해석된 홀로코스트의 개념: 관람객의 관람경험 분석 123
V.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 142
1. 관람객의 해석적 과정을 위한 박물관의 해석적 틀과 재현의 의미 142
2. 관람객의 선지식과 지속적 과정으로서 의미형성 및 관람경험 145
3. 대화 분석을 통한 관람객 의미형성의 과제 148
VI. 결론 152
참고문헌 160
부록 I. 관람객 동의를 위한 공지 전문 168
부록 II. 사례 연구를 위한 관람객 대화 내용 기록 169
ABSTRACT 304

댓글[0]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