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대학원 > 학위논문

학위논문

게시글 검색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의 전망과 가능성에 관한 연구 : 2000년대 이후 한국의 상황을 중심으로
임국화 (curator) 조회수:1629 210.121.137.7
2018-05-30 15:58:15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의 전망과 가능성에 관한 연구 : 2000년대 이후 한국의 상황을 중심으로
A Study on Perspective and Possibilities of Community based Public Art : Focusing on Cases of Korea Since 2000’s

임국화 (Lim, Kuk Hwa,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 발행기관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심상용
  • 발행년도 2013
  • 학위수여년월 2013.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큐레이터학과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
참여와 연대를 통해 사회 양극화 해소 및 공동체 회복에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이 가진 가능성이 주목되면서 최근 들어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증가하고 있다.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은 오늘날 공공미술의 일반적인 문제제기가 그렇듯, 1980년 이후 삶과 예술의 분리에 기반하는 모던 아트(Modern Art)에 대한 비판과 반성적 태도에서 출현했다. 그 출범 및 전개과정에서 한국의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은 1980년대 민중미술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1997년 IMF 외환위기와 2008년의 글로벌경제위기는 이후 의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 본 논문은 상호 호혜적인 연대와 협력을 통해 형성되는 공동체성에 의미를 부여하고, 그러한 인식을 예술창작의 저변으로 수용하는, 공공미술의 한 발전적 분류로서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에 대한 연구이다.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의 핵심을 이루는 것으로서 공동체는 다양한 주체들 사이에서 공동의 것(Common)을 공유하며, 공동체로서의 인식을 공유하는 집단을 의미한다. 이는 공공미술의 광범위한 유형으로서 장소가 중심이 되는 공공미술에서의 공공성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후자의 공공성은 개방적인 공간에 설치된 예술품을 통해 대중들에게 수동적인 의미의 미술 향유 경험을 제공하는 것인 반면, 전자 곧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에서의 공공성은 공동체의 형성이나 유지 등을 둘러싼 가능성과 방법론 등에 우선적인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오늘날 모던 아트의 개인주의적인 강령들에 대한 반성으로서 다양한 공공적 접근이 활성화되는 경향에 발맞추어,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의 논의와 실천적인 접근도 역동적으로 실현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변화와 흐름을 시대의 현상이자 시대정신의 한 의미 있는 발로로 보며, 따라서 그러한 논의와 실천들에 가까이 다가서서 조사하고 연구하는데 의미를 두고 있다. 사회적 연계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공통적인 것의 생산에 가치를 두는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의 연구는 그것이 공동체적 생활을 개선하는 잠재적인 사회적 자본으로서 한 사회의 존립기반과 긴밀하게 관련되는 점에서도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 논문은 사회의 각 구성원들의 복수의 특이성이 공동의 것을 공유하고, 공감하는 것이 가능한 ‘다중’으로서의 공동체 개념이 대안적인 예술창작담론의 출처가 될 수 있다는 의식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논문이 주제로 삼은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의 연구는 전통적이고 관념적인 공공미술의 담론을 넘어 보다 발전적이고 진일보한 공공미술 담론의 정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공동체, 공공미술,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 다중...
 
As the possibility of community based public art in the dissolution of social bipolarization and the recovery of communities through engagement and solidarity receives attention, interest in and discussion on community based public art has recently increased. Community based public art has derived from criticism of and reflective attitude toward modern art anchored to the separation between life and art since the 1980s, as did general problems rising in public art today. This art genre had been profoundly influenced by minjung misool, or people’s art in the 1980s in a process of its inauguration and development, and its subsequent expansion was affected by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and the global economic crisis in 2008.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n community based public art as a type of public art to lend meaning to the communal character formed through bilateral solidarity and collaboration and to embrace such a realization as the basis of artistic creation. A community as a key element of community based public art refers to a group of diverse subjects who share a common awareness. This communal character is obviously different from public-ness in public art in which the place is a crucial factor. Public-ness in public art is to offer the general public an experience of enjoying art through artworks set in open space in a passive sense whereas public-ness in community based public art puts emphasis on the possibility of and methodology for the formation or maintenance of a community. By keeping up with the recent trends, diverse public approaches become animated as a reflection on modern art’s individualistic trend, discussions on community based public art and practical approaches are attained dynamically. In this paper I see such change and flow as a phenomenon of the times and a meaningful manifestation of the spirit of the times. This paper therefore centers on examining and researching such discussion and practice up close. A study on community based art that places value in producing the common through a network as a social connection is meaningful in that such mode of public art is inextricably bound up with the base of a society’s existence as potential social capital improving communal living. This dissertation is based on the consciousness that the concept of the community in which each member of society shares the communal and communes can be a source of discourse on alternative artistic creation. A study on community-based public art this paper highlights as the theme can dedicate to establishing discourse on further developed and advanced public art, moving beyond conventional, abstract discourse on public art. Keywords: community, public art, community based public art, multitude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3. 용어의 정의 6
Ⅱ.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의 이론적 고찰 9
1. 공동체 개념 9
1) 전통적 공동체 형성과 변화 10
2) 공동체의 단일성에 대한 경계 12
3) 공동체에서 다중으로 14
2.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에 대한 논의들 16
1) 참여를 통한 공동체의 생성 17
2) 일시적인 작은 공동체 19
3) 장소-특정성 미술 기반 공동체성 21
4) 공유된 자산으로서 새로운 공동체 23

Ⅲ.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의 전개 및 유형 28
1.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로의 전개 28
1) 공공장소에서의 미술 28
2) 공공공간으로서의 미술 31
3) 공공 관심 속의 미술 34
2.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의 유형 37
1) 지역적 접근 38
2) 생태적 접근 41
3) 사회적 접근 44

Ⅳ. 한국의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 48
1.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의 출범과 초기전개 48
1) 민중미술과의 상관성 48
2) 1990년 이후의 상황전개 51
3) 2000년 이후의 상황전개 55
2. 2000년대 이후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의 확산 및 유형 62
1) 지역적 접근 62
(1) 주거공간과 공동체 62
(2) 다문화지역과 공동체 69
2) 생태적 접근 75
(1) 농사와 공동체 75
(2) 생태 보존 운동과 공동체 81
(3) 도시 텃밭과 공동체 84
3) 사회적 접근 87
(1) 노동자 주권과 공동체 87
(2) 시민 주권과 공동체 93
Ⅴ.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의 전망과 성찰적 가능성 99
1. 구조적 현실과 한계 극복 99
1) 예술적 상상력의 제한 99
2) 사목권력적 수행에 대한 경계 103
2. 사회적 자본으로서 공동체 기반 공공미술 106
1) 사회적 자본 생산과 특성 106
2) 사회적 결속과 공동체적 소명 110
3. 공공적인 것의 공동적인 것으로 전환 112
1) 다중 지향적인 활동 112
2) 공통된 것의 생산 116
Ⅵ. 결론 118
참고문헌 122
Abstract 129

댓글[0]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