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대학원 > 학위논문

학위논문

게시글 검색
1990년대 이후의 전시기획에 반영된 `유목주의(Nomadism)’ 담론에 관한 연구
김윤경 (curator) 조회수:558 210.121.137.7
2018-05-30 15:05:36

1990년대 이후의 전시기획에 반영된 `유목주의(Nomadism)’ 담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course of Nomadism reflected on exhibitions after the 1990s

김윤경 (Kim, Yoon Kyung,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 발행기관 :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 심상용
  • 발행년도 : 2010
  • 학위수여년월 : 2011. 2
  • 학위명 : 석사
  • 학과 및 전공 : 일반대학원 큐레이터학과
  • 본문언어 : 한국어
 
초록

최근의 미술은 다양함을 넘어서 보다 복잡해지고 있으며 모든 장르들과 미술 외적인 요소들을 끌어들이면서 문화적 차용과 잡종교배(hybridized)를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혼성적인 형식들은 자신의 기능이 미적이며 정치적이기도 하다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다. 현대 미술은 현대인의 삶과 사회 전반에 대두한 문제들을 표출시킴으로써 기존 예술의 틀을 해체하여 새로운 미술시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고, 이는 동시대가 가지고 있는 문화적 위기감을 반영하려는 의도로 여겨진다. 이렇듯 사회를 함의하는 도구로서의 미술전시는 언제나 시대에 대한 입장 표명이었으며, 더 나아가서 현재에는 시대적 담론들을 창출하는 데에까지 그 역할이 확장되었다. 철학이 되어버린 현대의 미술은 개개의 상이하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으며, 이는 미술의 영역을 확장함과 동시대성을 드러냄으로써 삶의 총체성에 접근하려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다원화 현상, 해체주의가 휩쓸고 지나간 후 기존의 미술 개념을 초월한 새로운 형태의 미술이 도래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변화는 기존 근대 철학으로는 해석하기 힘들며, 따라서 현대 미술을 해석할 수 있는 효과적인 철학 이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1990년대 이후 전시기획에 ‘유목주의(Nomadism)’ 담론이 반영된 현상에 대한 전시 사례 중심의 연구이다. 최근 현대미술은 전시기획에서부터 유목주의적인 특성들을 띄고 있다. 이는 사회·문화적 코드들의 유목주의적 현상이 전시에 반영된 것으로 이해해볼 수 있다. 따라서 빠르게 급변하며 형태를 달리하는 미술전시 사례들을 파악해보아, 현재 미술의 위치를 짚어보고, 기존의 담론들이 지니고 있던 해석의 한계점을 넘어서서 설득적인 철학적 담론을 제시하는 것과 동시에 현재 미술전시의 상을 재구성하는데 의의가 있다. 더불어 이러한 철학적 담론의 전시 사례들을 독해함은 함축적으로 시대적 사조를 읽어내는 기능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전시 사례중심의 연구가 확장된 관점에서 사회·문화현상들을 짚어보는 해석적 도구로서 기능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살펴보는 것 또한 본 논문의 의의일 것이다.

 
Recent trends in art display a complex nature beyond the diversity of the past, bringing in elements from other genres and from sources outside the normal realm of art, leading to cross-over and hybridized cultural experimentations. These inter-mixed forms of art could include influences from both aesthetical and political motives. By bringing to surface the various problems of modern times, contemporary art dismantled prior preconceptions while expanding new definitions of what constitutes art, portraying the cultural identity crisis felt by this generation. As such, art exhibitions have always been an expression of the period, and in contemporary times has extended its role in formation of the discourse of the era. New aspects of contemporary art exhibition such as individuality and differentuality has strengthened the philosophical aspects of the medium, expanding the realm of art and striving to approach life in all its entirety. In place the of pluralism and de-constructivism of previous art conceptions, new forms of aesthetic expression are rising. These new aspects cannot be interpreted with modern philosophy, and therefore call for more adequate philosophical concepts for explaining contemporary art.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Nomadism on art exhibition design after the 1990s are explored from case studies of recent exhibitions. Recent exhibitions of contemporary art show Nomadistic characteristics from the earliest planning stages. This can be interpreted as effects of Nomadistic characteristics of social and cultural codes reflected on the exhibi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fast changing and differentiating characteristics found in various art exhibitions,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contemporary art, explain the shortcomings of prior discourses in the process of forming adequate philosophical discourses and reconstructing the art exhibition of contemporary times. In addition, philosophical evaluation of art exhibitions can lead to reading the social and cultural codes hidden within. Therefore,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studying art exhibitions as a means for better understanding social and cultural codes is another important topic discussed in this study.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 목적 1
2. 연구 방법 및 범위 3
Ⅱ. 유목주의와 전시 7
1. 유목주의 담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 7
1) 유목주의와 탈영토화 7
2) 리좀 구조와 생성 9
3) 욕망하는 기계와 소수자 되기 14
2. 1990년대 이후 전시의 변화 16
1) 철학하는 미술 전시와 유목주의 16
2) 전시의 저자, 큐레이터 21
3) 전시 공간 개념의 확장 26
4) 전시 주체가 된 타자 30
Ⅲ. 전시 공간과 유목주의: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35
1. 미술관의 개방 35
1) 미술관 안으로 유입된 대중문화 37
2) 미술전시와 자본 44
3) 다학제적 전시(multi and inter disciplinary exhibition) 48
2. 유동적인 전시 공간 55
1) 유목하는 전시 55
2) 밖으로 이동한 미술관 건축물 60
3) 비정형 공간 67
Ⅳ. 시간성의 도입: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71
1. 사건화된 시간 71
1) 소통의 시간 74
2) 타자의 시간 81
2. 디지털 매체의 확장성 86
1) 새로운 시공간의 출현 87
2) 내러티브의 삽입 92
Ⅴ. 결 론 96
참 고 문 헌 100
ABSTRACT 107

댓글[0]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