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대학원 > 학위논문

학위논문

게시글 검색
한국현대회화의 동향과 특성에 관한 연구 -2000년 이후 중심으로
김영신 (curator) 조회수:574 210.121.137.7
2018-05-30 14:56:49

한국현대회화의 동향과 특성에 관한 연구 -2000년 이후 중심으로-
A Study in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Korean Paintings.-Focusing on the period after 2000-

김영신 (Kim, Young Shin,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 발행기관 : 동덕여자대학교
  • 지도교수 : 심상용
  • 발행년도 : 2009
  • 학위수여년월 : 2009. 8
  • 학위명 : 석사
  • 학과 및 전공 : 일반대학원 큐레이터학과
  • 원문페이지 : 107
  • 본문언어 : 한국어

 
초록

단토는 예술의 종말을 고하며 종말 이후 예술이 취해야할 대안으로 다원주의를 주장한다. 이는 미술이 더 이상 가야할 특정한 내적인 방향이 없는 자유로운 상태로 모든 것이 예술이 될 수 있음을 뜻한다. 그의 주장대로 현대 미술은 모든 것이 예술이 될 수 있으며 예술과 일상 사물의 구분도 모호해 졌다. 미술은 더 이상 특정한 사조를 만들지 않으며 현대 미술에서 그것은 무의미하다. 그럼에도 연구자는 미술 이론, 혹은 비평은 그것이 창작을 선행하건, 후행하건 간에 동시대 미술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동향을 살펴야 한다는 생각을 토대로 2000년 이후 한국 동시대 회화의 동향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Danto argues that pluralism should be the alternative for arts to move forward after the end of arts of arts as he claims. What this means is that all can be an art in the state of free spirit where there is no more specific internal direction for art to move forward to. Just as he claimed so, in the contemporary art, anything can become an art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arts and the everyday matters has become very ambiguous. Art does not produce any specific trend any more, which it could be meaningless in the contemporary art. Nevertheless, the researcher intended to look into the tren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Korean Paintings in the same era as in post-modernism era, on the basis that as to about whether the theory of art or critics precedes or follows after the work of creation, there should b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contemporary art to identify its trends.

 

목 차

도판목록 iii
국문초록 ⅳ

Ⅰ. 서 론 1

Ⅱ. 2000년 이후 한국미술 환경 6
1. 세계화의 영향 6
2. 다원화에 따른 변화 11
3. 미술시장의 활성화 14

Ⅲ. 정체성과 전통의 재해석 18
1. 정체성과 전통의 재해석에 관한 담론 18
1) 정체성에 관한 논의 18
2) 전통의 재해석에 관한 담론 24
3) 매체의 실험에 관한 연구 30
2. 정체성과 전통의 재해석에 관한 회화적 실현 33
1) 전통의 재해석에 관한 연구 33
2) 사군자와 민화의 재해석 41

Ⅳ. 재조명되는 회화의 개념에 관한 논의 48
1. 재쟁점화 된 회화 48
1) 장르로서 회화의 재복권 48
2) 회화적 성찰로서의 ‘그리기’ 53
2. 새로운 쟁점의 회화적 반영 57
1) 극사실 풍의 재현 회화에 대한 관심 57
2) 그리기에 관한 연구 66

Ⅴ. 대중문화의 수용과 시대성의 반영 77
1. 대중문화와 다양성에 관한 논의 77
1) 새로운 팝에 대한 담론 77
2) 시대성을 동반한 삶에 대한 관심 82
2. 대중문화를 수용한 전시와 작가 85
1) 네오 팝 성향 85
2) 개인의 서사에 관한 회화 91

Ⅵ. 결론 97

참 고 문 헌 99

ABSTRACT 104

댓글[0]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