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대학원 > 학위논문

학위논문

게시글 검색
1990년대 이후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의 유형별 사례 연구 - 시각예술 공공문화예술기관을 중심으로 -
정지연 (curator) 조회수:1700 210.121.137.7
2018-05-30 16:22:43

1990년대 이후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의 유형별 사례 연구 - 시각예술 공공문화예술기관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Each Type of Emerging Artists Support Programs Since the 1990s

정지연 (Jeong gi yeon,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 발행기관 : 동덕여자대학교
  • 지도교수 : 심상용
  • 발행년도 : 2017
  • 학위수여년월 : 2017. 8
  • 학위명 : 석사
  • 학과 및 전공 : 일반대학원 큐레이터학과
  • 원문페이지 : 109
  • 본문언어 : 한국어
 
 
초록

국내 작가지원 정책방향은 시대적 조류와 함께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많은 변화와 발전을 거쳐 오고 있다. 그동안 시행해 온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의 흐름을 살펴보면, 1990년대 초 창작기금과 공모전 형식에서 2000년대 후반 공간 주류 형태로 변화하였고 2010년을 기점으로 예술 인력의 맞춤형 프로그램인 예술인복지와 청년예술인 육성의 형태로 지원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의 급속한 발전은 예술지원제도가 가진 제도적 한계점을 불러일으켰고, 정책자 입장의 행정적 지원은 많은 부작용을 낳았다. 중앙과 지역의 편차, 특정한 공공기관의 인지도에 따라 작가들의 전시경력에 등급이 매겨지는 잘못된 관행은 공공기관이 수행해야 할 공적의무를 소홀히 하고 있다는 의구심마저 들게 한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연구자는 시각예술분야의 신진작가지원 프로그램의 현황과 실태를 대표적 유형별 사례를 통하여 파악하고, 당면한 문제점들을 알아봄으로써 신진작가프로그램의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1장에서 서론과 연구방법 및 범위를 살펴보고 2장의 이론적 배경에서 문화예술지원 정책과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의 의의 및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정의와 및 특징을 연구하였다. 3장에서는 국내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신진작가프로그램 현황 조사 및 7가지 대표적 유형을 구분 정리하였고, 이후 국외 주요국가의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 대표 사례에 관해서 알아보았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 및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보았다. 본 논문은 연구자가 실제 신진작가 지원을 위해 창작 공간 매니저로 그리고 문화재단 갤러리에 신진기획자로 입주하면서 쌍방의 관계에서 경험했던 고민들을 계기로 작성하게 되었다. 실제 체감했던 공공기관의 관리 및 행정문제는 현실에서 지원주체와 객체 사이의 거리가 상당히 존재했으며, 이러한 문제점 인식과 보완점에 대한 현실적인 개선 방안을 생각하게 되었다. 신진작가 개념의 의미와 지원유형에 따른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의 보완점, 프로그램 기획 전문 인력 양성과 상호 관점 변화의 인식을 수용 할 수 있는 정책의견 수렴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하여 좀 더 현장에 반영 할 수 있는 가까운 대안을 연구하게 되었다.

 
Policies for supporting domestic artists have very much been changed and developed from hardware to software to keep pace with the times. The representative types of the emerging artists support programs, made an alteration in the meantime, have been changed from creation funds or contest in early 1990s to the mainstream of space in late 2000s. And beginning in 2010, the artists have been supported in the form of artists welfare, the artist-customized program, and fostering emerging artists. However, the rapid development for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has its systematic limit of the art support systems and an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viewpoint of policy makers has resulted in many side effects. The devi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areas and the bad practice of support according to grades depending on awareness of specific public institutions make the researcher doubt that the public institutions neglect their official duties. Therefore, the researcher diagnose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representative support types of emerging artists support programs by domestic public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and studied an improvement plan to solve the problems. Chapter 1 examined the introduction, the research method, and the research range. Chapter 2 studied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and arts support polices and the emerging artists support programs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Chapter 3 investigate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emerging artists programs of the domestic public culture and art institutions, classified and arranged them into 7 representative types, and examined representative cases of emerging artists support programs in other major foreign countries. In conclusion, the directions that emerging artists support programs move forward based on these were suggested. The motivation for the treatise got to be written due to the problems that the researcher fel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erging artists and administrative offices, when the researcher actually worked in a cultural foundation gallery which was supported as the creative space manager and planners for emerging artists to support administration for them. For the problems in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 public institutions that the researcher actually experienced, there was the long distance between main agents of support and objects in administration and reality. And the researcher got to think of a realistic improvement plan about awareness and supplement points of these problems. The researcher was keenly aware of the point that the conceptual meaning of emerging artists, supplement points of emerging artists support programs according to types, foster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specialized in program planning, accepting political opinions which could accept change in the mutual viewpoints of emerging artists were positively necessary and got to study the point to reflect an alternative which was closer to the field.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6
1. 문화예술 지원 정책 6
1) 문화예술 지원 정책의 정의 6
2) 문화예술 지원 정책의 역사 7
2.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의 의의 13
1) 신진작가의 개념 13
2)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의 역사 15
3)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16
3.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정의와 유형 17
1)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정의 17
2)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유형과 기능 19
(1) 중앙정부 19
(2) 지방정부 22

Ⅲ. 국내 시각예술 분야의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 26
1. 국내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 현황 26
1)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 지원주체 26
(1) 중앙 정부 27
(2) 지방 정부 28
2. 국내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 유형 및 사례 30
1) 직접 지원 유형 33
(1) 창작 기금 지원 33
2) 간접지원 유형 38
(1) 창작 공간 지원 38
(2) 전시발표 기회지원 43
(3) 홍보 및 프로모션 지원 48
(4) 창작활동 경력개발 지원 50
(5) 국내외 네트워크 개발 및 교류 지원 53
3) 기타 지원 유형 57

Ⅳ. 국외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 현황 및 사례 61
1.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 현황 61
2. 주요 국가의 지원 사례 67
1) 미국 67
2) 영국 72
3) 프랑스 76
4) 독일 79

Ⅴ. 결 론 85
1.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 개선방안 85
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91

참 고 문 헌 92
부 록 101
< 부록 1-1> 공공기관 유형별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 현황 101
< 부록 1-2> 국내 공공문화예술기관별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 상세지원내용 102

Abstract 107

댓글[0]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