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대학원 > 학위논문

학위논문

게시글 검색
청소년 특성을 기반으로 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김성은 (curator) 조회수:1922 210.121.137.7
2018-05-30 16:08:31

청소년 특성을 기반으로 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김성은 (Kim, Seung Eun,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 발행기관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양지연
  • 발행년도 2014
  • 학위수여년월 2014.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큐레이터학과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
청소년기는 어린이에서 성인으로 성장해 나가는, 생애주기에 있어서 중요한 시기이다. 성인이 되기 위한 준비 과정인 만큼, 이 시기에 형성된 가치관과 인성 등은 청소년의 삶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다변화된 사회만큼 다양해진 청소년의 욕구에 귀 기울이고, 이들의 특성을 이해하여 잠재성과 다양한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질 높은 교육프로그램을 학교와 학교밖 교육기관에서 충분히 제공해야 하는 필요성이 강조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은 대학 입시를 위한 준비에 집중되어 있어, 청소년이 가진 잠재력을 키워주는 활동이나 이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교육부에서는 주요 교과목 중심의 학습에 벗어나 학생들의 창의력을 키워주고 소질을 기를 수 있도록 창의적 체험활동과 진로탐색활동을 정규교육과정에 도입하는 2009년 개정 교과안을 발표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의 수요가 증가하였고, 대중을 위한 공공교육의 기능을 수행하는 미술관도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2012년 전국 국내 미술관·박물관의 창의적 체험활동사업단 운영사업의 일환으로 청소년 대상 교육프로그램의 양적인 증가는 있었으나 교과 과정과의 연계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어, 정작 교육 참여자로서의 청소년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와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은 부족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 시기의 특성 이해와 연구를 기반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하다고 보고, 청소년의 특성과 요구에 부합하는 국내 미술관의 청소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제안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미술관은 청소년이 성인으로 성장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미래의 미술관 관람객 개발이라는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사례조사, 설문조사를 통해 수행하였다. 이외에도 선진사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미국 LA미술관(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LACMA) 교육 담당자와 인터뷰를 수행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한 중·고등학교 교사와의 인터뷰를 하였다. 국내 미술관 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의 상황과 한계점을 알아보고자 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해온 주요 미술관·박물관 10개 기관을 선정하여 조사 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에 따른 진로탐색활동, 창의적 체험활동 과목과 연계한 교육프로그램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2000년대 초반의 미술관·박물관 청소년 교육프로그램 상황과 비교하면, 청소년 대상 교육프로그램이 보다 증가하고 다양화 되었다. 그러나 청소년의 특성에 기반을 둔 교육프로그램 연구개발의 미흡, 기관별 교육프로그램의 차별성 부재, 교육대상의 수요에 따른 프로그램 내용과 방법의 다양성 부족이 주요 한계점으로 드러났다. 청소년의 미술관 관람,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참여 실태, 참여하고 싶은 교육프로그램, 미술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 현재 청소년들이 생각하는 미술관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수도권에 위치한 중·고등학교 청소년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몇 가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참여에 있어 교사나 부모의 영향이 가장 컸으며, 학교 단체 관람 차원에서 미술관을 방문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따라서 일차적으로 학교 단위 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의 질과 다양성을 높이는 것이 요구 된다. 중학생은 주로 가족과 함께 미술관을 방문하는 반면, 고등학생은 주로 친구와 함께 방문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에 중학생은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고등학생은 또래와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보다 활발하게 기획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프로그램에 있어 ‘학습’보다는 입시의 부담감에서 벗어나 흥미롭고 재미있는 체험을 해보고 싶어 하였으며,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학교 미술 수업의 만족도는 크지 않으며 수업의 내용과 교사의 역할을 청소년 요구에 따라 보다 적절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없는 이유로 중·고등학생 모두 ‘관심이 없어서’라는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두 번째 응답으로는 ‘정보를 몰라서’라는 응답비율이 높았다. 이는 청소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의 관심을 끌고 흥미로워 할 만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 홍보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넷째, 미술관을 ‘학습’을 위한 장소로 여기기보다는 ‘쉼, 편안함, 안정’을 기대하는 공간으로 생각하는 의견이 많았다. 이는 국내 중·고등학생이 새로운 장소에서, 입시의 부담을 덜고 다양한 경험을 하고 싶어하는 요구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체험해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는 다소 높은 것으로 보였으나, 교육프로그램에서 기억에 남는 활동은 그다지 다양하거나 인상 깊지 않았다. 청소년의 발달단계 특성을 고려한 미적·인지적 측면을 발달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연구와 개발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종합하여 미술관의 청소년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측면에서 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 내용 및 방법, 교육을 위한 장소와 교육기간의 적절한 설정, 청소년을 위한 효과적인 홍보매체와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기반 조성과 관련하여 청소년 교육프로그램 전문가 양성, 지역 네트워크 구축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Adolescence is a critical period in an individual’s life during which the individual grows to be adult. Since this transition period formulates the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throughout the entire life, and as the society diversifies in greater degree, high quality education programs in and outside schools designed to foster adolescent’s latent ability as well as satisfy his/her diverse needs are in greater demand than before. However, curriculum in Korean school education has been mainly focused on college entrance, and education programs that foster an adolescent’s potentials or satisfy adolescent’s demand do lack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Recognizing this to be a problem,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a reform in 2009 that introduced creative field activity and career exploration into regular school curriculum. As a result of this reform, demand for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adolescents increased, and art galleries began developing and running independent education programs to serve public education purposes. However, as the number of educ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increased from art galleries and museums, the purpose of the programs prioritized link to school curriculum, and lacked development of programs based on profound studies regarding adolescents’ characteristics as a participant in education. This has brought about the demand for research in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nd methological consideration on their education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rt museums develop educ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education programs engineered in consideration of nature of adolescence. Art museums play important roles as educational center for continuing education since they can have considerable influence on an adolescent’s maturing and provide grounds for developing future audience.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and survey analysis, and interviews with education representative of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LACMA) and teachers from local middle and high schools. Based on research and survey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art museum’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geared towards adolescents centered around basic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This study also looked into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 of adolescent education programs at ten major art museums and museum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ajority of them were career exploration and creative activity programs linked with school curriculum, and that art institutions pay increasing attention to adolescents vis-a-vis those in the early 2000‘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lso discovered limits in current programs such as lack of education programs understanding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lack of discrimination among institutions in formulating education programs, and lack of diversity in the contents and methodology of education programs to satisfy the needs of end users.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targeted at 300 adolescents at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on the pattern of adolescents’ visitation to art museums, participation in education programs at art galleries, types of education programs in demand, satisfaction level for art curriculum at school, and the meaning of art galleries in their mind. The survey results suggested important points as below. Firstly, teachers and parents played the biggest role in selecting education programs held at art museums, and majority of adolescents visited art museums as part of group activities held at school. This finding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quality and diversity in educations programs in connection with group activities held at school. Middle school students visit art museums with families, while high school students visit galleries mainly with friends. This indicates that the needs of students can be satisfied when programs for middle schoolers are designed for family participation, and when programs for high schoolers are designed for peer participation. Secondly, adolescents wished to experience fun activities as an escape from the burden of college entrance exams, and surveyees’ satisfaction level in art curriculum was not so high, so the teachers’ role in art education needs to be improved appropriately. Thirdly, majority of surveyees answered "lack of interest", and "lack of information" as reasons that the surveyees had not attended education programs at art museums before. Such result indicates the need for developing and promoting education programs that satisfy adolescents' interests. Fourthly, majority of surveyees recognized art galleries as a place of "rest, comfort, and tranquility" rather than a place of education. Such survey result can be considered in the light of surveyees' willingness to have various experiences free from their burden of college entrance. Lastly, surveyees' level of satisfaction for education programs at art museums was high, but memorable activities of the surveyees were neither various nor impressive. This indicated the needs for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that can enhance aesthetic and cognitive aspect of adolescents taking into consideration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developmental stages. This study proposes sophistication in contents and methodology in developing education program from art museums, appropriate selection of venue and time for education, along with effective promotion methodology geared towards adolescents.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the need for fostering experts in adolescent education programs and establishing local network with regards to formulating basis for operation of education programs.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4
Ⅱ. 청소년과 미술관 7
1. 청소년의 의미와 특성 7
1) '청소년'의 의미와 사회적 인식 7
2) 청소년기의 신체적, 심리적, 인지적 특성 11
3) 미적인지·표현 발달과 청소년 13
2. 미술관 관람자로서의 청소년 19
1) 청소년과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환경 19
2) 청소년과 미술작품의 관계 20
3)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이 청소년 발달에 미치는 효과 23
Ⅲ. 국내 미술관·박물관 청소년 교육프로그램 현황분석 28
1. 국내 미술관·박물관 청소년 교육프로그램 28
1)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의 미술관 이용 28
2)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 31
3) 자율참여 교육프로그램 40
2. 국내 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의 한계점 47
1) 청소년 특성에 기반을 둔 연구개발 미흡 47
2) 기관별 교육프로그램의 차별성 50
3) 교육대상의 수요에 따른 다양성 부족 52
Ⅳ. 청소년의 미술관 이용 및 의견 54
1. 조사방법 54
1) 조사의 설계 54
2) 설문지 구성 56
2. 설문지 분석 및 결과 57
1) 청소년과 미술관 관람 경험 57
2) 청소년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참여 61
3) 청소년의 미술에 대한 관심 68
4) 청소년과 미술관의 의미 77
3. 설문조사 분석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79
1) 청소년과 미술관 이용 79
2) 청소년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참여 80
3) 청소년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시사점 81
Ⅴ. 국내 미술관 청소년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안 84
1. 프로그램 기획 84
1) 교육 내용 및 방법의 적절성 재고 84
2) 장소 및 교육진행 기간 95
3) 교육프로그램 홍보매체와 방법 96
2. 기반 조성 100
1) 청소년 교육프로그램 전문가 양성 100
2) 지역 네트워크 구축 101
Ⅵ. 결론 104
참고문헌 107
부록 113
ABSTRACT 155

댓글[0]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