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대학원 > 학위논문

학위논문

게시글 검색
관람자의 의미형성을 위한 박물관 전시의 해석 전략 연구
김선아 (curator) 조회수:1290 210.121.137.7
2018-05-30 15:27:31

관람자의 의미형성을 위한 박물관 전시의 해석 전략 연구
A Study on Interpretive Strategies of Museum Exhibition for Visitors' Meaning-making

김선아 (Seon a, Kim,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 발행기관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 발행년도 2012
  • 학위수여년월 2012.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큐레이터학과
  • 원문페이지 v, 114p.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
오늘날 박물관에서는 대중과의 거리 좁히기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사회적 교육기관으로서의 박물관에 대한 인식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박물관 전시가 관람자와 원활한 소통을 하는 데에는 여전히 많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는 항상 부차적인 것으로 다루어져 온 박물관 전시의 해석 문제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가 박물관 측의 인식 부족과 방법론의 부재에 큰 원인이 있다고 보고, 박물관에서의 소통과 해석에 관하여 이론적으로 접근함과 동시에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론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박물관에서의 해석 개념이 교육적 행위, 소통과 참여, 그리고 관람자의 능동적 의미형성으로 변천해 온 과정을 살펴보고, 최근 논의되고 있는 의미형성으로서의 해석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박물관에서의 해석이란 관람자의 능동적 의미형성이며 관람자는 자신의 개인적 내러티브를 수단으로 하여, 그리고 대화적 과정을 통하여 의미를 만들어 나간다. 이러한 해석 개념은 박물관이 관람자의 의미형성을 돕는 촉진자 역할을 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논리에서 관람자의 의미형성을 돕는 박물관 전시의 해석 전략을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박물관에서는 관람자의 선지식과 연결하거나 개인적 내러티브 구성을 유도하거나 의미형성을 위한 대화 장치를 마련하는 범주 안에서 다양한 해석 전략을 개발할 수 있다. 선지식은 의미형성의 출발점으로서, 새로운 내용과 선지식과의 연결점을 찾아주는 것은 학습에 있어서의 주요 원리 중 하나이다. 박물관에서는 생소한 전시물을 관람자에게 친숙한 것과 연결시켜주거나 전시에 대한 맥락을 드러내는 또 다른 전시를 기획함으로써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시물에 대한 탐구 장치를 마련하거나 관람자의 반응을 끌어내는 방식을 통하여 개인적 내러티브 구성을 유도하는 전시를 개발할 수 있다. 대화를 통한 의미형성은 관람자와 전시물 사이의 대화의 측면, 혹은 관람자들 사이의 대화의 측면에서 논의할 수 있으며, 박물관은 대화를 유도하는 전시설명문을 개발하거나 토의를 통한 ‘시각적 사고 전략(Visual Thinking Strategies)’을 활용하여 의미형성을 위한 대화 장치를 마련할 수 있다. 논문의 후반에서는 관람자 의미형성 능력의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해석 전략들의 효율성을 높이고 관람자 의미형성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전시기획 과정에서 팀 모델 도입과 관람자 평가의 활용, 그리고 관람자 참여형 전시 개발을 통하여 소통을 강화하고, 관람자 연구에 질적 연구방법을 도입하여 관람자 경험을 이해하며, 능동적 해석자를 넘어 비판적 관람자로 이끌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개발하는 등 박물관 전범위에 걸친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박물관 종사자가 아닌 관람자의 입장에서 박물관과 관람자와의 관계, 그리고 박물관 해석에 관한 문제에 접근함으로써 박물관 측의 전문가에게 시사점을 주는데 한정되지 않고 관람자에게도 유익한 연구라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관람자와의 소통과 해석이라는 측면에서 박물관 교육을 바라보고, 이것을 박물관의 핵심 활동이라 할 수 있는 전시의 차원에서 풀어냄으로써 박물관 교육의 본령을 지향하는 이론적·방법론적 연구로 자리매김될 수 있을 것이다.
 
Today, museums are considered as social institutions and they are making an effort to be close to their visitors. Museum exhibitions, however, don't communicate with their visitors effectively. This is related to limitations of the interpretation of museum exhibitions which is regarded as secondary issue. This study examined theory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and interpretation in the museum, since they don'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ory exhibition and they don't know how to embody it. First, I examined the history of meaning of interpretation in the museum from educational activity to communication and engagement, and to visitors' positive meaning-making; then I studied the contemporary definition of interpretation as meaning-making. Interpretation in the museum is visitors' positive meaning-making which is formed by means of their personal narratives, and they make meaning through a dialogical process. This concept of interpretation suggests that museums must role facilitators helping visitors' meaning-making. Accordingly, I presented interpretive strategies of museum exhibition for visitors' meaning-making in three categories. Museums are able to develop various interpretive strategies in three categories: connecting exhibition with visitors' a priori knowledge, alluding them to make their own narratives, and inducing dialogues for meaning-making. Since a priori knowledge is the start of meaning-making, the connection between new contents and a priori knowledge is one of important principles of learning. Museums could lead the connection by tying unfamiliar objects with familiar things or by developing another exhibition showing the context of a specific one. They also could develop exhibitions alluding visitors to make their own narratives by installing devices exploring objects or by inviting them to response. Dialogue for meaning-making could be discussed in the point of the dialogues between visitors and objects or dialogues among visitors. They also could develop interpretive strategies inducing dialogues by writing labels inviting visitors' dialogues or by using 'Visual Thinking Strategies'. I made a proposal of the ways for improving visitors' meaning-making ability in the latter half of this paper. Long and fundamental programs throughout the field of the museums would be demanded for promoting efficiency of above-mentioned interpretive strategies and improving visitors' meaning-making ability. Museums should strengthen communications by introducing team model in the process of exhibition development, by making the good use of visitor evaluation, and by developing participatory exhibitions. And they should understand visitor experience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bout visitors. They should also search various ways to change positive interpreters into critical visitors. Approa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useums and visitors and museum interpretation in visitors' point of view instead of museum staff's, this study is helpful to visitors as well as to museums. Furthermore, this is significant of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study toward the real character of museum education, because it look at the museum education from an aspect of the communication and interpretation, and deals with museum education around exhibition which is essential activity in museum.
 
 
목차

Ⅰ.서론 1
1.연구 배경과 목적 1
2.연구 내용과 방법 4
Ⅱ.해석의 장으로서의 박물관 7
1.박물관에서의 해석의 의미 7
(1)박물관 해석의 개념 7
(2)박물관 해석의 기능 10
2.의미형성과 박물관 해석 14
(1)능동적 의미형성으로서의 해석 개념 14
(2)의미형성 수단으로서의 내러티브 18
(3)대화적 과정을 통한 의미형성 20
3.해석과 박물관의 역할 24
(1)의미형성을 돕는 박물관 해석의 역할 24
(2)사회적 교육기관으로서의 박물관 27
Ⅲ.관람자의 의미형성을 위한 박물관의 해석 전략 31
1.관람자의 선지식과 연결하기 31
(1)의미형성의 출발점으로서의 선지식 31
(2)관람자에게 친숙한 것과 전시물의 연결 34
(3)맥락적 전시를 통한 연결 유도 37
2.개인적 내러티브 구성 유도 40
(1)스토리텔링으로서의 내러티브 구성 40
(2)관람자의 개인적 반응 끌어내기 45
3.의미형성을 위한 대화 장치 마련 48
(1)대화를 통한 의미형성 개념 48
(2)대화를 유도하는 전시설명문 52
(3)토의를 통한 '시각적 사고 전략(Visual Thinking Strategies)' 57
Ⅳ.의미형성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 67
1.전시기획 과정에서의 소통 강화 67
(1)전시기획팀 모델 도입 67
(2)관람자 평가의 활용 72
(3)관람자 참여형 전시 개발 78
2.질적 연구를 통한 관람자 경험 이해 82
(1)관람자 연구에 질적 연구방법 도입 82
(2)관람자의 제작물에 관한 연구 85
3.비판적 의미형성 능력 개발 90
(1)박물관 전시의 문맥 읽기 90
(2)비판적 관람자로 이끌기 위한 전략 개발 95
Ⅴ.결론 99
참고문헌 102
도판 110
ABSTRACT 112

댓글[0]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