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대학원 > 학위논문

학위논문

게시글 검색
뮤지엄에 있어 커뮤니티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연구
신은영 (curator) 조회수:2174 210.121.137.7
2018-05-30 16:12:47

뮤지엄에 있어 커뮤니티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Meaning and Role of the Community for Museums

신은영 (Shin, Eun Young, 동덕여자대학교)

 

  • 발행기관 : 동덕여자대학교
  • 지도교수 : 양지연
  • 발행년도 : 2016
  • 학위명 : 석사
  • 학과 및 전공 : 일반대학원 큐레이터학과
  • 본문언어 : 한국어
 
 
초록

오늘날 뮤지엄은 단순한 기록과 보존의 공간이 아닌 참여와 소통의 공간으로 그 정체성을 새로이 확립해 나가고 있다. 뮤지엄은 이제 기존의 해석전략 이상을 생각해야만 하고, 뮤지엄 벽 너머에 있는 커뮤니티와의 관계 형성을 위한 새로운 전략들을 개발해야 한다. 예술과 사회, 그 중심에 뮤지엄이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뮤지엄에 있어 커뮤니티의 의미와 역할을 기존의 문화 지형에서 확장시키고, 뮤지엄의 새로운 가치와 역할로 부여되고 있는 사회적 책임 확대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현 시대 뮤지엄이 그 책무를 이행하는데 있어 커뮤니티에 보다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바로 커뮤니티가 가지고 있는 대안과 가능성에서 비롯될 것이라는 전제 아래, 뮤지엄에 있어 커뮤니티의 의미와 역할을 탐색하고 이것이 어떠한 생산적 논의를 가능하게 하는지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오늘날 뮤지엄은 단순한 기록과 보존의 공간이 아닌 참여와 소통의 공간으로 그 정체성을 새로이 확립해 나가고 있다. 뮤지엄은 이제 기존의 해석전략 이상을 생각해야만 하고, 뮤지엄 벽 너머에 있는 커뮤니티와의 관계 형성을 위한 새로운 전략들을 개발해야 한다. 예술과 사회, 그 중심에 뮤지엄이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뮤지엄에 있어 커뮤니티의 의미와 역할을 기존의 문화 지형에서 확장시키고, 뮤지엄의 새로운 가치와 역할로 부여되고 있는 사회적 책임 확대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현 시대 뮤지엄이 그 책무를 이행하는데 있어 커뮤니티에 보다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바로 커뮤니티가 가지고 있는 대안과 가능성에서 비롯될 것이라는 전제 아래, 뮤지엄에 있어 커뮤니티의 의미와 역할을 탐색하고 이것이 어떠한 생산적 논의를 가능하게 하는지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커뮤니티를 문화예술 영역에 국한된 시점이 아닌 공동체론, 문화사회학, 박물관학 등 다각적이고 입체적인 관점에서 조명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적 관계 속에서 발현되는 ‘사회적 자본’, 창조적 관계망을 생성하는 ‘협업의 파트너’, 사회의 구조와 철학을 이해하게 하는 ‘해석의 기반’이라는 커뮤니티의 속성이 뮤지엄의 새로운 가치와 역할을 위한 전략으로 작용될 수 있음을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를 통해 전개하였다. 본 연구는 오늘날 뮤지엄이 예술과 사회의 중심에서 커뮤니티의 중요성을 부각시킬 수밖에 없는 뮤지엄의 시대적 흐름과 거대 담론의 변화를 추적하고, 커뮤니티가 지닌 속성들이 확장된 뮤지엄을 위한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작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의미망을 지니고 있는 커뮤니티는 뮤지엄의 공적가치를 입증하고 시대적 상황에 걸맞은 새로운 정의를 가능케 한다. 이에 뮤지엄은 커뮤니티를 이해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상호 보완적인 공생관계에 놓여야 하며, 예술적 실천 현장인 뮤지엄은 커뮤니티의 삶 속으로 스며들어 그 일부가 되어야 함을 연구의 결과로 도출하였다. 오늘날 뮤지엄이 한층 강화된 공공성의 책무를 지고 있다. 단순한 지식의 전달이나 향유의 공간에서 벗어나, 문화를 선도하고 함께 창조할 수 있는 커뮤니티의 장으로 운영될 때 보다 확장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의 행복 및 경제 발전의 견인차 역할로 뮤지엄이 언급되는 현 상황에서 본 연구는 도구로서의 뮤지엄이 아닌, 뮤지엄의 입장에서 유의미한 커뮤니티의 사회학적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제안을 통해 뮤지엄이 사회적 의미와 가치를 입증하고, 책임을 다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our time, museums are no longer spaces for recording and storing museums are now repositioning their identities as a space of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Museums must now think of more than the existing interpretive strategy, and develop new strategies for forming relationships with the community beyond its walls. Museums, in this way, are stationed at the center of art and society. With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infrastructure age in the 21stcentury, innovation and creativity are being highlighted as key faculties of the future industry, and social interest in museums as the source of cultural and knowledge industries is on the rise. The time calls for museums to function more as an inclusive and open social actor, instead of staying as a fixed and unchanging historical space. In this context, the concept of the community is being proposed as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museums’ attempt to expand its social role. It is clear that museums must establish an active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Assigning greater meaning to the community as museums execute their social and artistic responsivity, as they are built upon the foundation of culture as shared experience of history, is interlinked to the alternatives and potentials of the communities themsel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ays to expand museums’ social role and build on the concept of community beyond the existing cultural topography. The study meticulously traces changes in the macro-discourse of art museums, and the contemporary society’s changes that illuminate the importance of community as museums serve as centers of art and society. Based on this logic, the study develops the poin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could serve as a key mechanism for the expanded museum. The community, with its varying meaning-network, proves the public value of the museum, and enables new definitions that align with the social context. In our time, museums must form a symbiotic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by understanding communities and building networks. The study shows that through this process, museums could function as the practice ground of art, while also being integrated into and become incorporated into the lives of community member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museums in our time shoulder greater public responsibility, and that they could serve their extended role only when operated as a space for the community where culture could be lived and produced, going beyond its conventional role as conveyors of knowledge. Considering how museums are now seen as the momentum of happiness, regional harmony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researcher attempted to propose a social model that could be utili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useum, instead of adhering to the view that museums are useful tools. Through this suggestion, the researcher hopes to concretely describe the social need for museums so that they could serve their social responsibility.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및 내용 4
3. 연구 범위 및 방법 7


Ⅱ. 이론적 배경 9
1. 커뮤니티에 대한 이해 9
1) 커뮤니티의 정의 및 주요개념 9
2) 커뮤니티의 유형 및 범주 13
3) 오늘날 커뮤니티의 가능성 16
2. 뮤지엄과 커뮤니티 21
1) 뮤지엄 패러다임의 시대적 변화 21
2) 뮤지엄의 새로운 패러다임, 커뮤니티 26
3) 확장된 뮤지엄 30


Ⅲ. 뮤지엄에 있어 커뮤니티의 의미와 역할 36
1. 사회자본으로서의 커뮤니티 36
1) 네트워크 구축 40
2) 신뢰의 형성 43
3) 상호 호혜성의 활용 47
2. 협업 파트너로서의 커뮤니티 51
1) 문화 거버넌스 53
2) 전략적 협력체 56
3. 해석 기반으로서의 커뮤니티 59
1) 문화 다양성의 존중 61
2) 새로운 환경에의 대응 64


Ⅳ. 실천 사례들의 비평적 고찰 67
1. 사회자본으로서의 커뮤니티 적용사례 분석 67
1) 미국 ‘윙 루크 아시아 박물관’ 67
2) 사례연구의 시사점 71
2. 협업 파트너로서의 커뮤니티 적용사례 분석 73
1) 일본 ‘가나자와 21세기 미술관’ 73
2) 사례연구의 시사점 77
3. 해석 기반으로서의 커뮤니티 적용사례 분석 80
1) 미국 ‘휘트니 미술관’ 80
2) 사례연구의 시사점 83


Ⅴ. 결론 및 제언 85
1. 결론 85
2. 제언 87


참고문헌 91


ABSTRACT 99

댓글[0]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