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대학원 > 학위논문

학위논문

게시글 검색
백남준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신체 이미지 연구
이수현 (curator) 조회수:541 210.121.137.7
2018-05-30 15:10:07

백남준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신체 이미지 연구

이수현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 발행기관 : 동덕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11
  • 학위수여년월 : 2011. 8
  • 학위명 : 석사
  • 학과 및 전공 : 일반대학원 큐레이터학과
  • 원문페이지 : ⅵ, 81p.
  • 본문언어 : 한국어
 

미술의 역사 속에서 신체는 아름다움의 상징이거나 신성함의 아이콘으로 표현되어 왔다. 그러나 시대가 변함에 따라 완전하고 아름다운 신체는 그 모습을 달리하며 또 다른 모습으로 새롭게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신체는 1960년대를 거치며 단순한 재현의 대상이 아니라 작품 창작의 주체로써 새롭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는 관심 밖의 영역이었던 신체가 해체되고 파편화되며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게 되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또한 테크놀로지의 급속한 발달은 또 다른 신체 개념과 담론을 형성하며 변형된 모습의 기계신체로 확장되어 나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러한 신체 개념의 변화 속에서 신체가 가지는 의미를 새롭게 조명하고자 이 시기 활발하게 활동한 작가로서 세계적 명성을 갖고 있는 비디오 아트 선구자 백남준(1932-2006)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제시한다. 1960년대 초를 시작으로 한 백남준의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퍼포먼스는 신체를 도구화하는 다양한 의미의 행위를 보여주었고 그 후, 새로운 미디어를 이용한 정체성 모색은 자신의 반영성으로 나타났다. 그것은 순수한 자아의 안정된 정체성이 아닌 가변적이며 은유적인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었다. 이렇게 시작된 테크놀로지의 영향은 인간형상의 비디오 조각인 기계신체들로 나타났으며 이는 백남준만의 새로운 예술형식의 패러다임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백남준 작품세계에 나타난 신체의 해석과 이해는 미술에 있어 또 다른 미학적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백남준이 직접 보여주었던 신체 행위는 창작의 주체로서 표현되어졌으며, 작품에서 나타난 신체는 욕망이 작동하는 장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에 관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인간형상의 비디오 조각은 남성적 의미의 기계신체로 다양하게 표현되기도 하였다. 이렇듯 백남준의 신체 이미지 독해는 백남준 예술을 이해할 때 간과되기 쉬운 그의 내면적인 상황들을 점검하고 그 미학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길을 열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백남준 작품을 통해 현대 미술에 나타난 신체 이미지를 다양한 시각으로 연구함으로써 백남준 작품에 대한 미학적 의미와 논의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roughout the history of art, the body has been the symbol of beauty or the icon of the sacred. As time passed, however, the notion of ideal physical beauty has changed in appearance and form. Moving through the 1960s, the body developed not as a simple subject of representation but as the subject of art creation. This means that the body, which was outside of the field of attention until that time, was disseminated and fragmented and became a new alternative.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brought about yet another concept and discourse related to the body, and the body was extended to incorporate the notion of the mechanical body.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of the concept of the body and explores the meaning of the body in this changing context. In particular, I explored the art of Nam June Paik (1932-2006), an internationally renowned artist and video art pioneer who was active during the 1960s. Nam June Paik’s avant-garde and experimental performances, in the 1960s, utilized the body as the tool, and the search for identity through new media appeared to be self-reflectiveness. This identity, however, was not the fixed identity of the pure self but was expressed as a variable or metaphor. The influence of technology manifested in the form of video sculptures of the human form. This new paradigm of art was unique to Nam June Paik. The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body that appeared in the art of Nam June Paik suggests yet another aesthetic method in art. Thus, the physical gestures that Nam June Paik employed expressed the subject of creation, and the body that appeared in his work became the field where desire operates and which contains the meaning of the identity of the self. Also, video sculptures of the human form have variously expressed the masculine mechanical body. This reading of body image in the art of Nam June Paik has been easily overlooked when understanding his art. This explora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artist’s internal state and opens the door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his aesthetics. Therefore, by looking at the body images in Nam June Paik’s art, I have sought to study body images in contemporary art from various angles, and thus contribute to the expanding aesthetic meaning and discussions about Nam June Paik’s body of work.
 
 
 
목차

I.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II. 신체표현의 역사와 백남준 작품 전개 5
1. 백남준 활동시기 신체 표현의 역사적 고찰 5
1) 새로운 의미의 신체 - 60, 70년대 미술 5
2) 주제로서의 신체 - 80년대 이후 10
2. 백남준 작품 전개와 양상 11
1) 백남준 예술 형성과 퍼포먼스 시기 11
2) 비디오 아트 등장과 전개 15
3) 백남준과 신체 17

III. 행위로서 신체 19
1. 플럭서스 시기의 행위 20
1) 파괴적 행위 20
2) 정적인 행위 25
2. 행위와 결합된 비디오 매체 27
1) 뉴미디어의 등장 TV 27
2) 비디오 조각 퍼포먼스 30
3. 제의적 표현 - 샤먼적 행위 36

IV. 신체, 정체성의 모색과 반영 41
1. 자의식과 관련된 자기 반영 42
1) 신체 - 자화상 42
2) 시네마 메타피지크(Cinema Metaphysique)의 자화상 46
2. 간접적 형상화로서 자기 반영 48
1) TV 부처 조각 - TV 부처 , 히드라 부처 48
2) 인격구조들의 상호작용 - 카르마(Karma) 51

V. 신체의 진화, 기계신체 53
1. 휴머니티를 흡수한 기계 인간 - 로봇 55
2. 영웅적 기계인간 58
1) 토템으로서의 비디오 조각 58
2) 유목민적 비디오 조각 61

VI. 결론 65
그림 목록 73
ABSTRACT 80

댓글[0]

열기 닫기